- 예법과 절차
- 지방 쓰는법
- 제사상 차리는법
삼국시대 때부터 지내기 시작한 우리나라 제사 문화는 가문과 지역에 따라 제사의 진행순서와 예법에 차이가 많고, 방법 또한 잘못 행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내용으로 올바른 예법과 절차를 익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으로 올바른 예법과 절차를 익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1) 강신 (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향을 올리고 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두 손으로 향불 위에서 세번 돌린 다음 모사(茅莎)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고 두 번 절한다.(향을 피우는 것은 향을 피워 천상에 계시는 조상의 혼령을 청하여 모시는 상징적인 행위이고, 또 모사에 술을 붓는 것은 향기로운 술을 땅(모사)에 부어 지하에 계실 조상의 신을 모시는 절차이다.)
02) 참신 (參神)
신위(神位)에 인사하는 절차로 모든 참사자(參祀者)가 다같이 두 번 절하고 주부이하 여자는 네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제사 지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을 뒤에 하며, 지방을 모시고 제사 지낼 때는 강신을 먼저 한다고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되어 있다.03) 초헌 (初獻 )
제사 지낼 때 첫번째로 신위에 올리는 첫 잔을 말한다.04) 축문읽기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엎드려 있으면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축을 다 읽고나서 참사자는 잠시 묵념을 하던지 곡을 잠시하고 나서 모두 일어나서 두번 절한다.
05) 아헌 (亞獻), 종헌 (終獻)
둘째잔과 셋째잔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첫잔 드림과 동일하며 모사그릇에 술을 따르는 절차만 생략하며 종헌 때는 7부로 술을 따른다.06) 삽시 (揷匙)
식사를 드시라는 의미로, 수저를 메(밥)에 꽂는 절차를 말한다.07) 헌다 (獻茶)
신불(神佛)께 차를 올림. 숭늉올리기.08) 사신 (辭神)
제사(祭祀)를 지내고 조상을 보내는 일.09) 지방소각
납주(納主) : 제사가 끝나면 지방들을 모아 소각하는 것을 말한다.10) 철상 (撤床)
철상이란 제상을 정리하는 것으로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11) 음복 (飮福)
음복이란 조상님께 물려주신 복(福)된 음식(飮食)이라 하여 제사가 끝나면 헌관이하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나누어 먹는다. 고례(古禮)에는 '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 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지방의 규격은 폭이 6cm정도 길이가 22cm정도가 좋으며 주로 한지(창호지 종류)를 사용한다.
- 고위(考位 할아버지 위)를 왼편에 쓰고, 비위(卑位 할머니 위)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아내의 지방에는 顯(현)자를 故(고)자로 고쳐 쓰고, 동생이하 卑幼(비유)에는 亡(망)자로 고쳐쓴다.
- 자식의 지방에 미혼시에는 秀才(수재)라 쓰고, 기혼일 경우에는 學生(학생)이라 쓴다.
- 생전에 벼슬을 했을 경우 學生(학생) 대신 벼슬의 직급 혹은 직위를 쓴다.
- 신위(神位)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紙榜)으로 대신 한다.
- 생전에는 父라 하나 사후(死後)에는 考라 하며 생전에는 母라하고 사후(死後)에는 비(卑)라 한다.
- 여자인 경우 유인(孺人) 다음에는 본관과 성씨를 쓰고 아내의 제사인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祭主)가 되며 자식의 경우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주가 된다.
- 만약 재취(再聚)로 인하여 지방이 삼위(三位)일 경우는 왼쪽에 남자의 지방을 약간 높게 붙이고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 여자의 경우 모봉(母封)은 남편의 직품에 따라 1품은 정경부인(貞敬夫人), 2품은 정부인(淑夫人), 3품은 숙인(淑人), 벼슬이 없으면 孺人이라 쓴다.
- 여자의 모관모씨(募貫募氏)는 본관 성씨를 쓴다.
- 한글의 경우도 한자 지방에 준하여 쓴다.
■좌포우혜(左脯右醯)
4열 좌측 끝에는 포(북어, 문어, 전복)를 놓고 우측 끝에는 젓갈을 놓는다.■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홍동백서(紅東白西)
과일 중에 붉은 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조율시이(棗栗枾梨)
조율시이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배(사과)의 순서로 놓는다.■좌면우병(左麵右餠)
2열 좌측에 국수를 우측에 떡을 놓는다.■생동숙서(生東熟西)
4열 동쪽에 김치를 서쪽에 나물을 놓는다.■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 쪽에 놓는다.진설하는 열은 모두 5열로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제1열은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제2열은 적(炙)과 전(煎)을 놓는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후라이 팬에 부친 음식(부침개).
■제3열은 탕을 놓는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탕), 소탕(두부,채소류탕), 어탕(어패류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한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있다.■제4열은 포와 나물을 놓는 줄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하여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제5열은 과실을 놓는 줄
좌측부터 대추, 밤, 감(곶감), 배(사과)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